Product Owner

[코드스테이츠 PMB 5기] PM이란?

WAY_MAKER 2021. 2. 18. 13:40

PO란 무엇인가에 관심은 있었는데 한 번도 Job searching을 해본 적은 없었다.. (역시 나란 귀차니스트)

이번에 원티드를 중심으로 PO 직군에 있는 job posting을 살펴보았는데 꽤 많은 공고에 놀랐다.

 

내가 PM이 된다면.. 어떤 회사에서 일하고 싶은지 3곳 정도를 추려보았다.

- 배달의 민족, 팀윙크, 토스

 

위의 업체에서 공고된 Job posting에 대해서 PM으로 What(어떤 일을 하는지?), Qualification(자격요건은 무엇인지?), Why?(내가 왜 이 곳에 맞을지)를 관점으로 정리해보았다.

 

기본적으로 개선을 위해 노력이 필요하다는 내용은 있지만,회사의 VALUE와 고객의 VALUE의 접점을 찾아야 한다는 내용은 적혀있지 않네..

 

1. 배달의 민족, 가게시스템 기획 

한줄느낌: 회사는 백엔드 시스템에 대한 중요도를 얼마나 느끼고 있을까?, 기존에 데이터들이 잘 관리되고 있을까?

 

What 무슨 일을 하는 가?

  • 배달의 민족의 캐시카우라고 볼 수 있는 "광고"를 정확하게 하기 위해
    기초가 되는 데이터(가게정보, 사업정보)를 관리하는 시스템에 대한 기획+운영

 

Qualification 자격요건은?

  • Back-end 및 플랫폼에 대한 기획을 해본 사람을 원함
    - 특히, 다양한 서비스를 연계해본 사람
  • 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하고 문제 해결력이 있는 사람
     - 더 나아가서, 데이터를 기반으로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는 사람
  • PM/PL, 일정관리, 커뮤니케이션 역량이 있는 사람
  • 애자일에 대한 경험이 있거나, 기술/개발에 관심이 있는 사람
    - Jira, Confluence, Slack 등 개발툴 활용 경험 보유자
  • 성장의 니즈가 있는자

 

Why? 왜 여기를? 나와 무엇이 맞는가?

  • 시스템의 기획(ISP)-구축(설계) - PMO 까지의 Full Cycle에 대한 경험
  • IT 컨설턴트로 IT 트렌드에 민감하게 대응하고 고객의 이슈 해결을 위해 다각적인 분석과 개선방안을 제시해옴
  • 매번 다양한 조직, 사람과 일해오면서 쌓아온 협업과 커뮤니케이션 역량
  • 애자일에 관심이 많고, 공부하고자 노력중

 

2. 팀윙크, 서비스 기획

한줄느낌: 알다의 서비스가 아직 세분화되어 있지 않은 듯 하다. 총 PO가 몇명 일까?

 

What 무슨 일을 하는 가?

  • PFM(자산관리) 서비스인 "알다"앱의 분석, 제품 전략 수립하고 개발을 위한 요건을 정리
  • 일의 우선순위를 정리하여 관리
  • 배포를 위한 테스트

 

Qualification 자격요건은?

  • PRD를 작성하고, 프로젝트를 리딩할 수 있는 사람
  • 상품에 애정을 갖고 끊임없이 개선을 위해 고민하는 사람 (자기주도적, 주인의식을 가진사람으로 정리할 수 있을 듯)
    - 에너자이저, 셀프모티베이션이 되는 사람
    - 호기심, 탐구심, 해결방안을 고민해서 실행에 옮길 수 있는 사람
  • 개발팀과 소통하기위한 애자일 방법론에 대한 이해과 개념이 있는 사람
  • 여러 이해관계자와의 커뮤니케이션, 협조, 조율, 목표 달성을 할 수 있는 사람

 

Why? 왜 여기를? 나와 무엇이 맞는가?

  • 워터폴 방식이긴 하지만, (애자일이 약간 가미된) 개발 프로젝트에서의 설계 경험과
  • 100억 규모의 프로젝트에서 PMO PM 수행 중 (잘 끝났으면 좋겠다..하..)
  • 너무 동기부여해서 무리가 따르는 에너자이저, 투머치 호기심 보유자
  • 다양한 조직, 사람과 일해오면서 쌓아온 협업과 커뮤니케이션 역량
  • 애자일에 관심이 많고, 공부하고자 노력중
  • 직업 특징 상 금융에 관심이 많음 (은행, 신평사, 대부업 (응?) 등)

 

3. 토스뱅크, Product Owner

 

한줄느낌: 토스뱅크는 과연 .. 성공적으로 데뷔할 수 있을 것인가! 어떤 새로운 서비스를 만들까?

 

What 무슨 일을 하는 가?

  • 담당 업무에 대한 의사결정, 일의 전반에 걸친 주도적 리딩
  • 잠재적 사업기회 발굴, 고객의 Pain point, 시장의 비효율을 바라보고 해결하기 위한 과제를 정의하고
    실행의 우선순위 결정
  • 가설 수립, 실험, 데이터 인사이트 기반 검증, 제품 고도화

 

Qualification 자격요건은?

  • 모바일 제품 개발, 디자인 PM 경력자 (아.. 난 모바일은 안해봤는데)
  • 데이터 기반의 Analytic Mindset
  • 궁극의 고객 경험, 시장 혁신을 위한 제품 발굴
  •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성과를 만들어내는 끈기가 있는 사람
  • 목표 설정, 전략 논의, 논리적 커뮤니케이션, 협업
  • 추가적으로..
    - Lean Startup, Agile 조직에 대한 경험
    - 기획-조직운영까지의 해본 창업 경험
    - 산업공학(다각적 시각을 가진 사람)
    - 소프트웨어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자

 

Why? 왜 여기를? 나와 무엇이 맞는가?

  • 금융업+IT에 대한 이해도가 있다. 
    - 한 은행의 차세대 글로벌 시스템 사업에서 "여신"업무 관리를 담당함
  • 빠르게 그리고 다소 터프한 IT컨설팅 시장에서 8년간 재미있게 일하는 중
  • 모바일에 대한 이해도는 아직 크진 않지만 개발자, 디자이너와 협업해본 경험
  • ISP 프로젝트를 하면서 한 기업의 시스템 구축의 비전, 전략, 이행계획 수립 프로젝트 경험

위 PO 포스팅의 공통점은?

#주도적 #혁신 #문제해결 #협업 #커뮤니케이션 #자기성장니즈 #계획적 

 

정도로 정리해볼 수 있을 듯

 

나의 언어로 정리한 Product Owner란?

회사의 value (고객)에 집중하고 이해하고 사랑하려는 마음을 가진 사람

 

담당 Product 대해서 고객 중심으로 문제를 식별하고
해결을 위한 insight를 만들어낼 수 있는 끈기와 실행력을 갖춘 사람
- 나의 마음에 치우치지 않고 데이터를 이해하고 데이터 중심의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어야 함

 

관련 이해관계자들의 컨센서스를 맞추고 합의를 이끌어내는 사람 (퍼실리테이터)
그들의 동기부여까지 이끌어내서 함께 갈 수 있도록 독려하는 사람

'내'가 아닌 '우리'가 만들어가는 일에 대해 공감을 얻고, 동료에게 업적을 돌릴 수 있는 사람

 

 

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중요도/우선순위를 정리하고 계획하여 추진할 수 있는 사람